
칼세이건 딸인 샤샤세이건의 일상의 대한 고찰을 다룬책이다.
우리에게 무언가 문제가 있으며 그걸 극복하려고 노력 해야 한다는 기본 전제에는 물론 당연히 동의한다.외국인 혐오, 권위주의, 폭력 등이 그런 문제다. 과거에 수십 명 정 도가 무리를 짓고 살 때는 이런 끔찍한 성향에도 어떤 쓸모 가 있었을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지금은 70억 인구가 함 께, 이전 어느 때보다 더 가까이 함께 산다. 과학과 기술을 통해 서로의 삶을 보고 서로의 언어를 말하고 서로의 관습 을 배울 수 있게 되었다. 광대한 우주 속 우리 세계가 얼마 나 작은지도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니 당연히 다정함을 키 워야 한다. 아버지가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어떤 사람이 당신과 의견이 다르다고 하더라도 내버려두라. 수천억 개 의 은하 가운데서도 또다른 사람 하나를 찾을 수가 없을 테 니까." 나는 우리의 원죄는 성# 이나 지식욕이 아니라 서로 에 대한 잔인함이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진정으로 속죄해 야 하는 건 그것이다. -113p
나한테 말한 것도 아닌데 내가 끼어들었다.
"아에 그래요. 진짜 믿는 거 아니죠?' 나는 테이를 건내면
'에서 큰소리로 이렇게 말하고 그 여자분이 한 말에서 들립 점을 신나게 지적했다. 나는 재미있는 지적 도전이고 장난 기 있는 도발이라고 생각했는데, 어느 순간 상대방은 재미 있어 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번뜩 깨달았다. 그 사람을 욕보 이고 있었다. 그 자리에 있던 다른 사람들도 내가 엄청나게 재수없게 군다고 생각하는 것 같았다.
아마도 그날 내가 무언가 다른 일 때문에 자신감을 잃었 기 때문이었던 듯하다. 나는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못되게 구는 까닭은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다른 사람에게 투사하거나 아니면 자신감 부족을 보상하려는 마음 때문이 라고 생각한다. -114p
오류 수정이야말로 과학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과학자들 은 틀리지 않는 사람들이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다. 역사 상 가장 위대한 지성이라고 하는 사람들도 많은 오류를 범 했다. 과학과 종교의 결정적 차이는, 나보다 앞에 왔던 사람 들, 내가 그 어깨를 디디고 서는 선각자들, 내가 아는 모든 것을 가르쳐준 사람(교사, 영웅, 멘토)의 생각이 옳지 않음을 입증하면 좋은 과학자가 된다는 점이다. 그러면 과학자는 자기 할 일을 한 것이다. 그러나 좋은 목사, 랍비, 성직자, 수 도사는 반대로 전통을 고수하는 이다.
아버지는 이런 글을 쓴 적이 있다. " 과학자는 종종 '그거아주 좋은 논증입니다. 내 생각이 틀렸습니다'라고 말하고 자기 생각을 수정하고 다시는 이전 생각을 되풀이하지 않 는다. 과학에서는 이런 일이 실제로 일어난다. 사실 이런 일 이 지금보다 더 많아야 한다. 하지만 과학자도 인간이라 변 화를 겪어내기가 고통스러울 때가 있다." 맞는 말이다. 내가 틀렸어. 내가 실수했어. 내가 잘못했어.
이기적이었어. 치사했어. 어리석었어. 생각이 없었어. 미안해.
이런 말을 하기가 왜 그리 어려울까? 사람은 누구나 다 잘 못을 저지르는 존재인데도? -120~121p
나는 시민의 임무는 고분고분 순응하지 않고 의심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이 곧 하게 될 시민 서약 에 이런 내용이 들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나는 지도 자들이 하는 말 전부를 의심하겠다고 약속합니다.” 그게 진정으로 제퍼슨의 정신을 계승하는 일이 될 것입니다. "나는 비판적 사고 능력을 사용하겠다고 약속합니다. 독립적 사고를 기르겠다고 약속합니다. 독립적 판 단을 할 수 있게 스스로 공부하겠다고 약속합니다.” 이런 진술이 맹세문에 들어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여러분 스스로 약속할 수 있습니다. 이런 약속이 이 나라에 여 러분이 줄 수 있는 선물이라고 나는 생각합니다. -175p
기념할 만한 사건을 떠올리기에 가장 좋은 시 점은 지구가 한 바퀴 돌아 그 일이 일어났을 때와 같은 위 치에 왔을 때라고 생각한다. 그러니 천문학과 관련이 있는 관습이다. 지구가 해를 기준으로 같은 위치에 왔을 때 기념 일이나 생일을 된다. 그렇지만 태양계 전체가 우리은하에 서 2억 2500만 년 주기로 공전하기 때문에, 같은 위치에 있 더라도 사실상 모든 게 다른 위치에 있기도 하다. -189p
나는 점성술은 전혀 믿지 않지만 그래도 우리 아기가 언 제 태어날지에는 무척 신경을 썼다. 아이가 8월 4일에 태어 나면 어떤 패턴에 들어맞을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인간의 뇌는 패턴을 아주 잘 찾아내는데 패턴을 찾아내면 진화적 으로 유리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갓난아기는 사람 얼굴 의 패턴을 알아본다. 두 눈과 코, 입이 우리가 익히 아는 형 대로 배열된 것을 알아보고 웃음을 짓는다. 이렇게 반응하 면 아기가 보고 있는 얼굴의 주인과 아기 사이에 유대감이 생기고 그 얼굴의 주인이 아기를 더 잘 돌봐줄 가능성이 커진다. -194p
'책이라는우주 > 심리학과 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으로 이기다, 무인양품 [마쓰이 타다미쓰] (0) | 2023.04.04 |
---|---|
'달러구트 꿈 백화점' 전자책 후기(밀리의서재) (0) | 2021.03.14 |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 인간 존엄성의 승리 (0) | 2021.01.22 |
설득의 심리학. 로버트 치알디니의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6가지 불변의 법칙 (0) | 2020.10.01 |
사유(디자인 아포리즘) [서기흔] (0) | 2017.08.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