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오롯이 성장하는 사람
맞춤법

[문장부호] 헷갈리는 쉼표 사용법

by 굿에디터 2020. 8. 18.
반응형

 

 

논문, 업무메일,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할때 수많은 문장을 쓰게되고 그때마다 만나게 되는 문법이 있다.

당연하지만 가끔 헷갈리는 지점이 생기는 쉼표 부호!

문장부호 '쉼표'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1. 같은 자격의 어구를 열거할 때 그 사이에 쓴다.

근면, 검소, 협동은 우리 겨레의 미덕이다.
5보다 작은 자연수는 1, 2, 3, 4이다.
소설 구성의 3 요소는 인물, 사건, 배경이다

*열거할 어구들을 생략할 때 사용하는 줄임표 앞에는 쉼표를 쓰지 않는다. 

광역시: 광주, 대구, 대전……

2. 짝을 지어 구별할 때 쓴다.

닭과 지네, 개와 고양이는 상극이다. 
한국과 일본, 필리핀과 베트남은 각각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있는 국가들이다. 

3. 이웃하는 수를 개략적으로 나타낼 때 쓴다.

1, 2세기
3, 4, 5개
이 책은 4, 5세 정도의 유야에게 읽히면 좋습니다.

4. 열거의 순서를 나타내는 어구 다음에 쓴다.

첫째, 몸이 튼튼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마음이 편해야 한다.

*'그리고, 그러나, 그런데, 그러므로' 등과 같은 접속 부사의 뒤에서 쉼표를 쓰지 않는 것이 자연스럽다.

네 말도 일리는 있다. 그렇지만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의견에 따라야만 한다.

5. 문장의 연결 관계를 분명히 하고자 할 때 절과 절 사이에 쓴다.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떡국은 설날의 대표적인 음식인데, 이걸 먹어야 비로소 나이도 한 살 더 먹는다고 한다.

 

6. 같은 말이 되풀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일정한 부분을 줄여서 열거할 때 쓴다.

여름에는 바다에서, 겨울에는 산에서 휴가를 즐겼다.
사람은 평생 음식물을 섭취, 소화, 배설하면서 살아간다.

7. 부르거나 대답하는 말 뒤에 쓴다.

지은아, 이리 좀 와 봐.
네, 지금 가겠습니다.

8. 한 문장 안에서 앞말을 '곧', '다시 말해' 등과 같은 어구로 다시 설명할 때 앞말 다음에 쓴다.

책의 서문, 곧 머리말에는 책을 지은 목적이 드러나
호준이 어머니, 다시 말해 나의 누님은 올해로 결혼한 지 20년이 된다.
나에게도 작은 소망, 이를테면 나만의 정원을 가졌으면 하는 소망이 있어.

9. 문장 앞 부분에서 조사 없이 쓰인 제시어나 주제어의 뒤에 쓴다.

돈, 돈이 인생의 전부이더냐?
열정, 이것이야말로 젊은이의 가장 소중한 자산이다.
저 친구, 저러다가 큰일 한번 내겠어.

10. 도치문에서 도치된 어구들 사이에 쓴다.

이리 오세요, 어머님.
다시 보자, 한강수야.

11. 짧게 더듬는 말을 표시할 때 쓴다.

선생님, 부, 부정행위라니요? 그런 건 새, 생각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내가 그, 그럴 리가 없잖아.
제가 정말 하, 합격이라고요?

 

출처: 국립국어원

 

반응형

댓글